<aside> 💬

로민의 머신러닝 엔지니어가 갖춰야 할 핵심역량에 대해, Edgar의 인터뷰를 들어볼까요?”

</aside>

윤병일님_아바타.png

🧑🏻‍💻       **ML Engineer**

                  Edgar

💬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로민 ML팀에서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Edgar입니다.

저는 문서 파싱(Document Parsing, DocParsing)을 담당하고 있어요. 쉽게 말해 문서 안의 본문, 머리말, 캡션, 테이블 같은 구조를 분석해서 AI가 이해하기 좋은 HTML 형태로 변환하는 일이죠.

최근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 기반 AI로 인해 이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데요. RAG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문서를 AI가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구조로 저장해야 하는데 바로 그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이 바로 문서 파싱이에요. ML팀이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고요.

💬 로민의 ML팀 ML 엔지니어에게 가장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요?


저는 문제를 정의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문제 해결은 AI 도구의 도움으로 점점 쉬워지고 있지만, 무엇이 진짜 문제인지 파악하고 정의하는 과정은 반드시 사람이 해야 하거든요. 이슈가 생겼을 때 “본질적인 문제는 무엇인지”, 그리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정리할 수 있는 역량이 가장 필요해요.

💬 로민 ML팀의 목표와 포부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ML팀의 가장 큰 과제는 단순히 AI 성능을 높이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아직 발견하지 못한 니즈를 찾아내고 그것을 해결하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AI 성능 향상은 인프라나 자본, 인력 등 외부 요인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고객이 원하는 문제를 먼저 정의하고 그에 맞는 해결책을 제안하는 건 우리가 차별화할 수 있는 지점이에요. 그래서 ML팀은 주어진 요구사항을 수행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문제를 먼저 제안하고 풀어내는 팀이 되어야 하죠.

💬 로민의 장점 혹은 매력을 자랑해주세요!


로민의 가장 큰 매력은 ‘함께 일하는 동료들’이에요. 로민은 수평적이고 자유로운 소통이 가능하고, 모두가 책임감을 가지고 일해요. 갈등을 만들거나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이 없고 맡은 일을 끝까지 책임지는 사람들이 모여 있다는 게 큰 장점이에요.

💬 로민에 입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저는 문서를 다루는 AI 기술에 관심이 많았고 로민이 이 분야에서 앞서고 있는 기업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지원하게 됐어요. 그리고 예전에 통계청의 아날로그 문서 처리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OCR 기술을 배우게 됐는데요. 그 경험이 지금의 관심사와 이어져 자연스럽게 로민에 합류하게 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