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ide> 💬 “강지홍 대표님의 안목과 비전 제시가 입사하는 데 크게 작용했다는 Justin님! 
멀티모달 모델 개발을 담당하는
Justin님의 인터뷰를 들어볼까요?”

</aside>

김지수님_아바타.png

     🧑🏻‍💻 **ML Engineer** 

                 Justin

💬 간단한 자기소개를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로민의 Machine Leaning팀(ML팀)에서 Document AI 관련 연구 및 엔지니어링을 담당하는 Justin입니다.

대학원 재학 시절부터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 관련 연구와 업무를 진행해 오다가 2023년 10월에 로민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 로민의 머신러닝(ML) 엔지니어는 어떤 일을 하나요?


다양한 종류의 문서들을 이용하는 여러 task들을 마치 사람처럼 스마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연구하고 개발합니다.

여러 방면에서 수집된 수많은 문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업무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모델 개발과 더불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처리/후처리 로직도 개발합니다. 최근에는 처음 보는 문서도 처리할 수 있는 Zero-shot 모델과 사용자가 원하는 task를 자연어로 전달해도 처리할 수 있는 멀티모달 기반의 Document AI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로민의 머신러닝(ML) 엔지니어에게 필요한 역량은?


ML팀에서 개발을 진행하다 보면 다양한 어려움을 마주하게 됩니다. 개발자로서의 어려움 외에도 모델 학습을 위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도 다양한 어려움이 도사리고, 모델을 학습하는 과정에서도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성능을 낼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을 많이 하게됩니다.

그래서 제가 생각하기에, 로민의 ML팀에서 가장 필요한 역량은 머릿속에서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빠르게 실험 및 검증해 볼 수 있는 능력인 것 같습니다. 다양한 시행착오로부터 기존에 생각지도 못했던 여러 좋은 해결책들이 많이 떠오르기에 주저하지 않고 실험해 볼 수 있는 도전 정신이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덤으로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잘 떠올리신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습니다!

💬 로민의 머신러닝(ML)팀은 어떻게 일하나요?


ML팀 업무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 팀의 기초 뼈대 및 기본기라 할 수 있는 base model 개발을 위한 연구 업무와 각종 사업 및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상시 업무로 나누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